백세코딩
나는 어떻게 개발자가 되었나?
프롤로그를 읽고, 내가 어떻게 개발자가 되었는지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저자는 거의 모든 IT의 역사에서 언급됐던 것처 럼 PC가 막 보급되던 때, 우연히 컴퓨터를 접하게 되고 컴퓨터와 사랑에 빠져 청계천과 용산 전자상가를 누비며 개발자의 꿈을 키워온... 전형적인 중년의 개발자 스토리의 주인공이었습니다. 개발이 3D 업종으로 취급받던 때에도, 지금처럼 각광받던 때에도 환경에 휩쓸리지 않고 컴퓨터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라이프'를 꿈꾸며 살아가고 계시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사실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 정도의 추억, 낭만, 열정 같은 건 없는데... 계속 해도 되는 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사실 컴퓨터엔 관심이 없었습니다. 꿈은 없고, 그냥 놀고 싶지도 않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 몰랐던 때에 배우고 있었던 게 웹 프로그래밍이었습니다. 마침 취업 시장에서 개발자 대우가 좋아지고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IT 업계로 뛰어들고 있었던 때였습니다. 그래서 저도 그냥 따라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아직도 마음깊이 원하는, 나와 딱 맞는 직업이라고는 확신할 수 없어서 개발자로 몇 십년을 살아온 저자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성공...? 나는 성공이 하고 싶은가...?
취업 준비를 하던 때에는 그저 열심히 했습니다. 더 잘하고 싶고, 공부하고 싶고, 더 많이 배우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무엇을 위해' 열심히 해야할 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왜 더 잘하고 싶은지? 사람들에게 인정받기 위해서인지? 돈을 더 벌기 위해서인지?
저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성공하려고 이 직업과 삶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개발자로 살기 위해서' 이 삶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성공한 소프트웨어는 '인간'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담긴, 잘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올바르게 동작하고 반응하는 소프트웨어라고 말합니다. 개발이라는 분야에 있어서 내가 생각하는 성공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생각해보아야겠습니다. 롤 모델도 정해보고, 그 사람들이 개발자로서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일하는지 레퍼런스 삼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조직이란 그렇게 '개개인의 능력'과는 그다지 상관없다. 다만, 조직과 서비스에 어울리는 '능력'을 가진 대상을 좋아할 뿐이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문장을 보며 겨우 3년차 사회초년생인 제가 어렴풋이 느끼고 있던 것들에 조금 더 확신이 생겼습니다. '네임드 개발자'가 된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좋은 사람과 회사가 원하는 사람은 다릅니다. 조직에서 오래오래 살아남기 위해 나를 맞춰나갈 것인지, 조직에 종속되지 않고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인지 방향성에 대해 더 깊이 고민 해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