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스킬
소프트 스킬이란 대인 관계에서 활용되는 기술을 말합니다. 코드 작성보다 논의가 많았던 요즘, 소프트 스킬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어요.
존 손메즈의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표지에는 '평범한 개발자의 비범한 인생 전략 71가지', '흔한 개발자, 존 손메즈. 그는 어떻게 33세에 은퇴했을까?'라는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이 문장들이 암시하는 것처럼 이 책은 일반적인 소프트 스킬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개발자로서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주였습니다. 그래서 (미국)개발자로서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려면 좋은 책이지만, 소프트 스킬에 대한 내용을 기대하고 읽는다면 실망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책 이름을 다시 짓는다면 '존 손메즈의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이 딱 어울릴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기술 서적이라기보다는 자서전에 더 가까운 책처럼 느껴졌어요.
손메즈씨... 그렇게 흔한 개발자는 아닌 것 같아요...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클리셰 설문조사에서 뽑힌 미디어 속 개발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죄다 체크셔츠를 입고있네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개발자 이미지는 자유분방하고, 똑똑하며, 어딘가 피곤하고, 한가지에 푹 빠져서 열중하는 모습인 것 같아요. 그런데 책의 저자 존 손메즈는 이런 전형적인 개발자 이미지랑는 아닙니다. 건강도 엄청 신경쓰시는 분이라서 몸도 엄청 좋으십니다.

멀끔
옷장에 체크셔츠는 한 장도 없고, 팔뚝에 타이트하게 붙는 반팔을 입을 것만 같은 이미지에요. 책의 목차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일과 사랑, 몸과 정신의 건강을 균형있게 챙기는 사람입니다. 세상 물정에도 밝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술에 매몰되기 보다는 육각형 삶을 채운 사람이라고 느껴져서 책읽는 내내 '이 사람 결코 흔한 개발자는 아니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 경력
- 셀프 마케팅
- 학습
- 생산성
- 재무관리
- 건강
- 영혼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
Chapter 1에서 책을 소개하며 이런 말을 합니다.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자신의 경력을 관리하고 목표를 성취하며 삶을 즐기면서 살아가는 사람이다. 더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아니 어떤 분야에서든 훌륭해지고 싶다면 삶의 일부 영역에 집중하지 말고 삶을 전체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진짜 개발자, 가짜 개발자
제 마음속에는 저도 모르는 사이에 '리누스 토발즈 같은 전설의 프로그래머'같은 사람이 진짜 개발자,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는 고정관념이 있었던 것 같아요. 저는 뭐 하나에 푹 빠져들어서 밤을 새는 탐구형 인간도 아니고, 알고리즘 문제 풀기는 항상 어려워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정말 개발자가 적성에 맞을까?'라는 고민을 자주 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책을 읽으며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려면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기술적인 영역도 중요하지만, 그 외의 영역도 챙길 줄 알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책의 제목을 '소프트 스킬'로 짓지 않았을까... 싶습니다.